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디자이너 부트캠프]31일차 UX리서치 실전(2)

본문

728x90
[디자이너 부트캠프]31일차 UX리서치 실전(2)

 

 

 

 

로딩 화면이 길수록 사용자의 인내심은 짧아진다

야콥 닐슨

 

 

 

 


강의 노트


 

 

 

리서치의 핵심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이를 통해 UX를 개선하는 것!!

오늘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UX 개선안을 도출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UX리서치 결과 분석 방법

: UX 리서치 결과 분석 프로세스_데이터에서 인사이트로

 

 

 

📌  UX 리서치 결과 분석 4단계:

단계 설명 예제 (이커머스 UX 개선)
1️⃣ 데이터 정리 설문조사,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 ‘사용자의 60%가 장바구니 단계에서 이탈’
2️⃣ 패턴 분석 사용자 패턴과 공통적인 문제를 찾음 ‘대부분의 사용자가 배송비가 비싸다고 느낌’
3️⃣ UX 문제 도출 핵심 UX 문제를 정의하고 정리 ‘무료 배송 기준을 명확히 안내해야 함’
4️⃣ UX 개선안 수립 문제 해결을 위한 UX 개선안을 도출 ‘장바구니에서 예상 배송비 미리 표시’

 

 

 

1.  데이터 정리 –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라

 

UX 리서치를 진행하고 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뭘까?

 

✔ 설문조사 결과 정리!
✔ 사용자 인터뷰 내용 정리!

✔ 사용성 테스트에서 나온 문제 정리!

 

우리가 수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

📌 예: 이커머스 UX 리서치 데이터 정리

✅ 설문조사 결과: 사용자의 60%가 장바구니에서 결제하지 않고 이탈.
✅ 사용자 인터뷰: "배송비가 예상보다 너무 비싸서 결제를 포기했어요."
✅ 사용성 테스트: 사용자의 40%가 장바구니에서 ‘배송비 확인’ 버튼을 찾지 못함.

 

 

 

2.  패턴 분석 – 공통적인 문제를 찾아라

 

중요한 것은 단순한 사용자 불만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찾아야 한다는 점

📌 예: 패턴 분석 결과

✅ 장바구니 이탈율이 높은 사용자는 대부분 무료 배송 기준을 모름.
✅ 인터뷰에서 사용자의 50%가 배송비가 예상보다 비싸다고 느낌.
✅ 사용성 테스트에서 장바구니 화면에서 배송비 정보를 쉽게 찾지 못함.

 

 

 

3.  UX 문제 도출 – 핵심 문제를 정의하라

 

UX 개선을 위해 사용자 경험을 방해하는 핵심 문제 찾기

📌 예: UX 문제 도출

✅ ‘무료 배송 기준을 명확히 안내해야 함’
✅ ‘배송비가 예상보다 높아, 결제 포기가 많음’
✅ ‘장바구니에서 예상 배송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함’

 

 

 

4.  UX 개선안 수립 –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안하라

 

UX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안을 만든다.

📌 예: UX 개선안 도출

✅ 장바구니에서 무료 배송 기준을 명확하게 표시 → 사용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개선.
✅ 배송비 예상 기능 추가 → 장바구니에서 예상 배송비 미리 제공.
✅ 할인 쿠폰 자동 적용 기능 추가 → 무료 배송이 가능할 경우 자동으로 할인 쿠폰 제공.

✔ 결과 예상:
* 장바구니 이탈율 감소
* 결제 전환율 증가
* 사용자 만족도 향상

 

 

 

 

📌 핵심정리

 

✔ UX 리서치 데이터 분석은 단계별 프로세스(정리 → 패턴 분석 → 문제 도출 → 개선안 도출)로 진행된다.

✔ 단순한 사용자 불만이 아니라, 반복되는 패턴을 찾아야 한다.

✔ UX 개선안은 데이터 기반으로 설계해야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2) UX 개선안 도출 실습

📌 핵심정리

✔ UX 개선은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해야 한다.

✔ 작은 변화가 큰 사용자 경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 실무에서는 UX 리서치를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할 최적의 UX 개선안을 도출해야 한다.

 

 

 

1. UX 개선은 실질적인 해결책에서 시작

 

📌 좋은 UX 개선안이란?

✔ 사용자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것

✔ 간단하면서도 적용하기 쉬운 것
✔ 비즈니스 목표와도 잘 맞아야 하는 것

 

UX 개선안은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와 문제 분석을 기반으로 한 논리적인 솔루션

 

 

📌 UX 개선안 도출 프로세스 

단계 설명 예제 (모바일 쇼핑 UX 개선)
1️⃣ UX 문제 정의 UX 리서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핵심 문제를 정리 ‘사용자가 장바구니에서 결제를 완료하지 않고 이탈하는 비율이 높다’
2️⃣ 원인 분석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주요 불편 요소 파악 ‘사용자가 예상 배송비를 미리 알 수 없어서 이탈함’
3️⃣ UX 개선 방향 제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해결책 도출 ‘장바구니에서 예상 배송비를 미리 표시하여 이탈 방지’
4️⃣ 기대 효과 정리 UX 개선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제 전환율 증가, 장바구니 이탈률 감소’

 

 

📌 체크리스트
✔ UX 문제가 명확하게 정의되었는가?
✔ UX 개선안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가?
✔ 데이터 기반으로 논리적인 해결책이 제안되었는가?
✔ UX 개선안이 실제로 구현 가능하고 효과적인가?

 

 

📌 예시

UX 문제 UX 개선 방향 기대 효과
모바일 쇼핑에서 장바구니 이탈율 증가 장바구니에서 예상 배송비 표시 추가 결제 전환율 증가
배달 앱에서 배달 예상 시간 불확실 실시간 배달 예상 시간 업데이트 기능 추가 고객 불만 감소, 주문 완료율 증가
온라인 강의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학습 지속률 저조 학습 목표 설정 기능 + 진도 체크 기능 추가 학습 지속률 증가

 

 

📌 핵심 정리

✔ UX 개선안은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으로 논리적으로 도출해야 한다.

✔ UX 문제를 분석할 때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중심으로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 UX 개선안은 실제로 구현 가능하고 사용자 경험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