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 부트캠프]41일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chatGPT활용)
디자인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예술은 문제를 제기하는 것입니다
엘런쿠퍼
강의노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시각-언어 모델의 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력 프롬프트를 설계하고 구조화하는 기술
chatGPT활용시 유의 사항
**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 인공지능(AI)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1. Few Shot Prompt
: 몇 개의 예시를 제공해 그에 맞게 결과를 출력
예제1)
사업제목 : AI를 활용한 인테리어 견적산출 솔루션
사업내용 : AI를 활용해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바닥, 벽, 천장등의 종합적인 자재 단가를 확인할수있는 솔루션
예제2)
사업제목 : AI를 활용한 정보분석 솔루션
사업내용 : AI를 활용해 공공기관에 있는 정보를분석하여 종합적 결론을 추론할수있는 솔루션입니다.
예제3)
사업제목 : OO을 활용한 OO
솔루션사업내용 :
2. 역할지정 기법
: 모델이 특정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
당신은 지금부터 [ ]의 역할을 해야해
결과값
프로덕트 디자이너 오즈입니다!
💡ChatGPT를 활용해서 더 스마트하고 효율적으로 디자인 작업을 하는 방법을 알려줄게요.
1. 리서치 & 인사이트 도출
사용자 조사 보조: “디자인할 제품의 타겟 사용자 인터뷰 질문 추천해줘.”
경쟁사 분석: “유사한 서비스들의 UI/UX 특징을 분석해줘.”
트렌드 파악: “요즘 SaaS 제품에서 많이 쓰이는 UI 패턴 알려줘.”
3. Q&A기법
: 감정표현을 유도해내기
Q. 너 오늘 기분이 어때? -> 질문자
A. 나 오늘 기분이 별로야 -> 답변자(Chat GPT)
Q. 어떤 이유때문에 별로야? -> 질문자
A. 그냥 요즘 너무 바빠서 그런 것 같아. 할 일이 많고 신경 쓸 것도 많아서 좀 지치는 느낌이야. -> 답변자(Chat GPT)
4. 멀티 페르소나 기법
: 여러명의 페르소나를 도출할 때 사용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사용하는 3명의 사람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 서비스가 더 좋은 방향으로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주제로 모여서 이야기를 하고있는데 어떤 이야기가 진행될까요?
<설정>
박상현 : 배달 어플리케이션 UI 디자인이 개선 되었으면 좋겠어.
손사현 : 어떤 UI 디자인이 개선되야되는데?
김윤미 : 버튼 누르는게 어렵게 되있던데
1. 명확하고 구체적인 프롬프트 작성
✅ "모바일 앱 UX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 5가지를 설명해줘. 각 요소의 실제 적용 사례도 포함해줘."
2. 컨텍스트 제공
✅ Z세대 타겟의 쇼핑 앱 UI를 개선하려고 해.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 UI 디자인 가이드를 만들어줘.
3. 예제 기반 학습(Few-Shot Learning)
✅ "다음과 같은 스타일로 UX 디자인 컨셉을 제안해줘.
이제 이런 방식으로 새로운 UX디자인 컨셉 3개 제안해줘
정리
1. 단계별 요청 (Step-by-Step Prompting)
지민은 최근 회사 앱의 온보딩 화면(첫 사용자가 앱을 시작할 때 경험하는 화면) 리디자인을 맡게 되었다. 하지만 막상 디자인을 시작하려니, 어떤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지 고민이었다. 지민은 ChatGPT를 켜고 이렇게 질문했다.
❌ "온보딩 화면을 어떻게 디자인하면 좋을까?"
AI는 "온보딩은 간결하고 직관적이어야 합니다. 단계별 안내, 소셜 로그인 지원, 개인화된 설정 제공이 중요합니다."
같은 너무 일반적인 내용을 답했다.
이건 너무 당연한 이야기잖아… 내가 원하는 답이 아니야!" 지민은 AI가 한번에 모든 답을 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다면, 온보딩의 각 요소를 하나씩 물어보면 어떨까?"
✅ "사용자가 온보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UX/UI를 개선하려고 해.첫 화면에서 전달해야 할 핵심 메시지는 무엇이야?사용자 이탈을 줄이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만 알려줘."
이제 AI는 "첫 화면에서는 앱의 핵심 가치를 한 줄로 전달해야 합니다."
그리고 "튜토리얼을 최소화하고, 스킵 옵션을 제공하고,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하면 이탈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같은 실용적인 답변을 제공했다.
2. 롤플레잉(역학지정)기법 활용
온보딩 화면을 디자인하는 데 필요한 기본 정보는 얻었다. 하지만,좀 더 전문적인 UX/UI 사례가 필요했다.
"그럼 AI가 UX 전문가처럼 답하게 만들어볼까?"
✅ "당신은 UX/UI 디자인 컨설팅 전문가입니다.A/B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반응을 분석한 경험이 많습니다.이제 ‘쇼핑 앱’의 온보딩 프로세스를 개선하려고 합니다.기존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보딩 방식 3가지를 추천해 주세요.각 방식의 실제 성공 사례도 포함해 주세요."
3. 프롬프트를 반복적으로 다듬기
이제 온보딩 디자인 방향이 잡혔다. 하지만 클라이언트는 "우리 앱은 쇼핑몰인데, 단순한 튜토리얼보다는 제품 탐색 경험을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면 좋겠어요."라고 요청했다."음… AI의 답변을 한 번 더 최적화해볼까?"처음에는 이렇게 물었다.
❌ "쇼핑 앱 온보딩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 AI가 일반적인 원칙을 제공 (다시 너무 기본적인 내용을 제공함)
그래서 지민은 프롬프트를 다시 수정했다.
✅ "우리 쇼핑 앱의 온보딩 화면을 디자인하려고 해.온보딩을 거치면서 사용자가 바로 ‘추천 상품’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싶어.이런 방식이 효과적인 실제 사례를 알려줘.UI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애니메이션, 카드형 레이아웃, 드래그 기능 등)를 추천해줘."
→ 이제 AI는 더 구체적인 UX/UI 개선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Amazon은 온보딩에서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하여 맞춤형 상품을 보여줍니다."
"ASOS는 제품 탐색이 자연스럽도록 스크롤을 활용한 온보딩을 적용했습니다."
"추천 상품을 카드형 레이아웃으로 배치하고, 스와이프로 탐색할 수 있도록 만들면 직관적입니다."
"맞아, 이런 세부적인 UI 요소가 필요했어!"지민은 프롬프트를 다듬으면서 점점 더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실감했다.
정리
💡 Step-by-Step Prompting
→ AI가 너무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주는 걸 방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단계적으로 얻을 수 있다.
💡 롤플레잉 기법
→ AI가 더 전문적인 답변을 제공하게 만들 수 있다.
💡 프롬프트를 반복적으로 다듬으면
→ AI의 답변이 점점 더 구체적이고 실용적으로 변한다.
** chatGPT이외 활용 가능한 LLM 서비스들
Perplexity
Perplexity is a free AI-powered answer engine that provides accurate, trusted, and real-time answers to any question.
www.perplexity.ai
Gemini - 대화를 통해 아이디어를 강화하세요
Bard가 Gemini로 바뀌었습니다. Google AI의 도움을 받아 글을 쓰고, 계획하고, 학습해 보세요.
gemini.google.com
뤼튼
당신의 첫 AI 에이전트 뤼튼. AI 검색부터 나만의 AI 캐릭터까지, AI의 끝없는 가능성을 탐험해 보세요.
wrtn.ai
Genspark - 검색 재발명. 에이전틱 엔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더 빠르게, 더 정확하게.
www.genspark.ai
[디자이너 부트캠프]43일차 AI와 데이터 분석 (2) | 2025.03.27 |
---|---|
[디자이너 부트캠프]42일차 AI와 데스크 리서치 (6) | 2025.03.26 |
[디자이너 부트캠프]40일차 고급 데이터 시각화 (0) | 2025.03.24 |
[디자이너 부트캠프]39일차 데이터 시각화 (0) | 2025.03.21 |
[디자이너 부트캠프]38일차 데이터 정리와 분석 (1) | 2025.03.20 |